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BOJ/Python] 백준 2805 - 나무 자르기, 백준 1654 - 랜선 자르기
    Solve 2024. 7. 15. 14:59

    문제

    더보기

    문제

    상근이는 나무 M미터가 필요하다. 근처에 나무를 구입할 곳이 모두 망해버렸기 때문에, 정부에 벌목 허가를 요청했다. 정부는 상근이네 집 근처의 나무 한 줄에 대한 벌목 허가를 내주었고, 상근이는 새로 구입한 목재절단기를 이용해서 나무를 구할것이다.

    목재절단기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먼저, 상근이는 절단기에 높이 H를 지정해야 한다. 높이를 지정하면 톱날이 땅으로부터 H미터 위로 올라간다. 그 다음, 한 줄에 연속해있는 나무를 모두 절단해버린다. 따라서, 높이가 H보다 큰 나무는 H 위의 부분이 잘릴 것이고, 낮은 나무는 잘리지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한 줄에 연속해있는 나무의 높이가 20, 15, 10, 17이라고 하자. 상근이가 높이를 15로 지정했다면, 나무를 자른 뒤의 높이는 15, 15, 10, 15가 될 것이고, 상근이는 길이가 5인 나무와 2인 나무를 들고 집에 갈 것이다. (총 7미터를 집에 들고 간다) 절단기에 설정할 수 있는 높이는 양의 정수 또는 0이다.

    상근이는 환경에 매우 관심이 많기 때문에, 나무를 필요한 만큼만 집으로 가져가려고 한다. 이때, 적어도 M미터의 나무를 집에 가져가기 위해서 절단기에 설정할 수 있는 높이의 최댓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나무의 수 N과 상근이가 집으로 가져가려고 하는 나무의 길이 M이 주어진다. (1 ≤ N ≤ 1,000,000, 1 ≤ M ≤ 2,000,000,000)

    둘째 줄에는 나무의 높이가 주어진다. 나무의 높이의 합은 항상 M보다 크거나 같기 때문에, 상근이는 집에 필요한 나무를 항상 가져갈 수 있다. 높이는 1,000,000,000보다 작거나 같은 양의 정수 또는 0이다.

     

    출력

    적어도 M미터의 나무를 집에 가져가기 위해서 절단기에 설정할 있는 높이의 최댓값을 출력한다.

    풀이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n, m = map(int, input().split())
    tree = sorted(list(map(int, input().split())))
    
    # 자른 나무 길이
    def cal_wood(height):
        length = 0
        for i in range(len(tree)):
            if tree[i] >= height:
                length += (tree[i]-height)
        return length
    
    # 이분탐색
    def binary(tree, target, start, end):
        while start <= end:
            mid = (start + end) // 2
            length = cal_wood(mid)
            if length < target:
                end = mid - 1
            else:
                start = mid + 1
        return end
    
    print(binary(tree, m, 0, tree[-1]))

     

        초기에는 단순 정렬 문제로 풀려고 하다가 input 받는 n, m의 범위를 보고 sort 문제는 아니겠구나 했다. 이분탐색은 풀어본 적이 없어서 푸는 방법을 공부하고 풀었다.

    참고

    1. 이분 탐색을 위한 함수와 자른 나무 길이를 연산하기 위한 함수를 생성한다.
    2. cal_wood: 주어진 나무 길이의 리스트를 돌면서 잘라낸 나무 길이보다 주어진 나무가 큰 경우, length에 합산한다.
    3. binary: 시작값부터 가장 긴 나무의 길이를 범위로 두고 이분 탐색을 실행한다. 이 때, mid값이 잘라내는 나무의 길이가 된다.
      목표값의 길이보다 커지거나 같아질 경우, 반복문을 탈출한다.

     

     

    문제

    더보기

    문제

    집에서 시간을 보내던 오영식은 박성원의 부름을 받고 급히 달려왔다. 박성원이 캠프 때 쓸 N개의 랜선을 만들어야 하는데 너무 바빠서 영식이에게 도움을 청했다.

    이미 오영식은 자체적으로 K개의 랜선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K개의 랜선은 길이가 제각각이다. 박성원은 랜선을 모두 N개의 같은 길이의 랜선으로 만들고 싶었기 때문에 K개의 랜선을 잘라서 만들어야 한다. 예를 들어 300cm 짜리 랜선에서 140cm 짜리 랜선을 두 개 잘라내면 20cm는 버려야 한다. (이미 자른 랜선은 붙일 수 없다.)

    편의를 위해 랜선을 자르거나 만들 때 손실되는 길이는 없다고 가정하며, 기존의 K개의 랜선으로 N개의 랜선을 만들 수 없는 경우는 없다고 가정하자. 그리고 자를 때는 항상 센티미터 단위로 정수길이만큼 자른다고 가정하자. N개보다 많이 만드는 것도 N개를 만드는 것에 포함된다. 이때 만들 수 있는 최대 랜선의 길이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는 오영식이 이미 가지고 있는 랜선의 개수 K, 그리고 필요한 랜선의 개수 N이 입력된다. K는 1이상 10,000이하의 정수이고, N은 1이상 1,000,000이하의 정수이다. 그리고 항상 K N 이다. 그 후 K줄에 걸쳐 이미 가지고 있는 각 랜선의 길이가 센티미터 단위의 정수로 입력된다. 랜선의 길이는 231-1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출력

    첫째 줄에 N개를 만들 있는 랜선의 최대 길이를 센티미터 단위의 정수로 출력한다.

    풀이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k, n = map(int, input().split())
    li = [int(input()) for _ in range(k)]
    li.sort()
    
    # 랜선 개수 카운트
    def count_line(list, length):
        count = 0
        for i in list:
            count += i // length
            # 랜선에서 length만큼 잘라낸 몫을 전부 더해서 카운트에 연산
        return count
    
    # 이분탐색
    def binary(list, target, start, end):
        while start <= end:
            mid = (start + end) // 2
            count = count_line(list, mid)
            if count < target:
                end = mid - 1
            else:
                start = mid + 1
        return end
    
    print(binary(li, n, 1, li[-1]))

    참고

    1. 이분 탐색을 위한 함수와 랜선 개수를 연산하기 위한 함수를 생성한다.
    2. count_line: 주어진 랜선 길이의 리스트를 돌면서 잘라낸 랜선 길이만큼 잘라낸 몫( = 잘라낸 랜선의 개수)을 count에 합산한다.
    3. binary: 시작값부터 가장 긴 랜선의 길이를 범위로 두고 이분 탐색을 실행한다. 이 때, mid값이 잘라내는 랜선의 길이( = length)가 된다. 목표값의 개수보다 커지거나 같아질 경우, 반복문을 탈출한다.